SK실트론에 대한 분석
SK실트론은 반도체 소재 업체입니다. 반도체의 핵심부부품인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는 곳으로써 폴리시드 웨이퍼, 에피텍셜 웨이퍼를 생산 공급하는 반도체 핵심 부품업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내기업에서는 유일하게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는 SK실트론은 전세계 Wafer 부품업에서의 매출 기중 시장점유율은 10.6%로 글로벌 탑5, 300mm 웨이퍼 생산 능력 기준으로는 15%로 글로벌 탑3 수준입니다. 또한 과거 10년간 연평균 3.2%의 매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는 중이며, 2018년에는 전년대비 40%의 성장을 기록하여 창사 이래 최고 매출액을 기록하기도 했다네요.
차세대 반도체 기술혁신 리더가 되고자 하는 SK실트론입니다. 고객과 기업, 사회의 상생을 추구하는 기업인 SK실트론입니다.
웨이퍼 제품으로는 폴리시드 웨이퍼는 고순도의 다결정 실리콘으로 만드는 아주 얇은 판 형태의 웨이퍼입니다. 직경 200mm와 300mm로 주로 생산되어 DRAM, NAND FLASH MEMORY에 주로 제조되는데 사용됩니다
에피텍셜 웨이퍼는 폴리시드 웨이퍼 위에 수 um 두께로 실리콘 단결정층을 증착한 웨이퍼입니다. EPI 우에퍼는 Logic Device 및 CMOS 이미지센서 등 비메모리반도체에 주로 사용되는데, 요즘 그 활용성이 점점 커지고 있어서 중요한 시장이기도 합니다.
추가 제품은 SiC 웨이퍼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런 SK실트론에서는 듀폰의 실리콘 사업부를 인수하면서 앞으로의 신규성장 동력을 더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SK실트론의 SiC웨이퍼는 고경도, 내전압, 내열 특성을 갖고 있어서 에너지 효율이 중요한 전기자동차와 5G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전력반도체용 웨이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제품입니다.
시장조사업체 IHS마켓과 욜(Yole)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전기차와 통신용 전력반도체 시장 규모가 2025년 5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SiC웨이퍼 시장 규모도 향후 17억 달러 수준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런 트렌드에서 SK실트론은 전기차 분야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그래도 요즘 자동차 시장에서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생산 차질 뉴스가 연속되고 있는데, SK실트론의 이런 사업전략이 잘 먹혀 들어가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해 보입니다.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어포스트 스킨 수정 사항 추천 2개
어포스트 스킨 수정 사항 추천 2개
2021.06.07 -
티스토리 스킨 중 아포스트 스킨이 가장 나은 듯
티스토리 스킨 중 아포스트 스킨이 가장 나은 듯
2021.06.06 -
코로나 백신 접종예약 - 전화 예약은 오늘까지
코로나 백신 접종예약 - 전화 예약은 오늘까지
2021.06.03 -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카드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카드
2021.06.02